폭염과 폭우 등 요즘 날씨가 참 변덕스럽습니다. 현재 수도권은 폭우로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봤고 남해 쪽은 폭염으로 고생을 하고 있는데요. 무더운 여름철에는 음식에 금방 상하고 세균으로 인한 식중독을 조심해야 됩니다. 식중독은 심할 경우 사망할 수도 있으니 음식을 드실 때 주의해서 드셔야 되는 데요. 식중독 증상과 예방법, 여름철 피해야 되는 음식에 대해 살펴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식중독이란?
상한 음식이나 익지 않은 음식을 섭취하여 해로운 병원성 미생물이나 유독 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병입니다.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식품 또는 물의 섭취에 의하여 발생되었거나 발생된 것으로 생각되는 감염성 또는 독소형 병이라고 정의를 하였습니다. 여름과 반대로 겨울에는 노로바이러스 등에 감염되는 사례도 많습니다.
식중독 종류
- 세균성 감염형 식중독 : 병원성미생물균이 잠식한 음식을 섭취하여 발생하는 식중독을 말합니다. 이런 종류는 균이 자라는 시간까지 시간이 필요하여 병이 발생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특징이 있고 음식을 가열하면 이런 류의 세균은 없어집니다.
- 세균성 독소형 식중독 : 미생물이 분비한 독소에 의해 오염된 음식을 섭취하였을 때 발생하는 식중독입니다. 세균성 감영형 식중독과는 다르게 섭취 후 발병까지 시간이 짧습니다. 음식을 가열하여 세균을 죽여도 열에 약한 독소를 제외하고 그대로 남이 있어 가열로 예방 효과가 없습니다.
- 바이러스성 식중독 : 물, 공기 등의 경로로 식품에 침투하여 감염되는 바이러스성 식중독입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 물갈이로 인한 설사가 있습니다.
- 원충성 식중독 : 원충에 감염된 식재료를 가열없이 생을 먹거나 오염된 식수를 마시는 경우 발생합니다.
- 자연독 식중독 : 복어 같은 자연적으로 독을 가지고 있는 식품을 먹을 경우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 화학성 식중독 : 식품가공 과정에서 불법 첨가물 등 독성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식중독입니다.
식중독 증상
- 대부분 식중독은 잠복기를 가지다 증상이 생깁니다.
- 증상으로는 오한, 발열, 구역질, 구토, 설사, 복통 등이 있습니다.
- 초기에는 속이 안좋고 체한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 증상이 진행되기 시작하면 장이 꼬인듯한 복통을 동반합니다.
- 방치할 경우 식중독균이 혈류를 타고 전신으로 퍼져 패혈증으로 사망할 수 있습니다.
- 심한 경우 감염성 심장내막염에 걸려 사망할 수 있습니다.
식중독 예방 및 치료법
- 선입선출
- 냉장고에 있는 음식들은 세균의 오염을 늦추는 것뿐이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오래된 음식은 과감하게 버리기
- 냉장고를 주기적으로 청소해주기 : 냉장고 안에 이물질들이 떨어지며 세균이 살기 좋은 환경이 됩니다.
- 음식을 하기 전, 먹기 전 항상 손 씻기
- 조리도구를 잘 씻어서 사용하고 식재료 관리를 잘해야됩니다.
- 유통기한 항상 확인하기
- 남은 음식은 항상 냉장, 냉동 보관하기
- 날 음식 피하기
- 끓여먹고 익혀 먹기
식중독 치료법
식중독은 확실한 치료법은 없고 빨리 병원을 내원해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또한 구토나 설사를 했을 경우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서 물을 천천히 많이 드시고 음식을 조금씩 자주 먹어야 합니다. 대체적으로 1~2일 후 자연적으로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름철 피해야 되는 음식
-어패류
조개 등 어패류를 덜 익히고 먹었을 때 비브리오패혈증균에 감염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생선류
여름철에 회를 섭취하면 식중독에 걸릴 확률이 높고 장염 비브리오균이 생선을 오염시켜 해당 생선을 날것으로 먹으면 식중독에 걸릴 확률이 높습니다.
-닭고기
생 닭을 먹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교차 오염을 조심하여야 합니다. 캠필로박터균은 열에 약한 균으로 조리하는 과정에 대부분 사멸되지만 조리과정에서 도마나 칼 등 조리도구에 오염되어 다른 음식에 묻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항상 조리 후 조리도구를 깨끗이 씻고 정리합시다.
-김밥
김밥에 들어간 채소는 식중독 균에 쉽게 노출됩니다. 신선한 채소로 바로 만든 김밥을 먹는 것은 상관없지만 2시간이 지난 김밥은 식중독 유발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두부
두부는 요리 과정에서 수분이 많이 생겨서 세균이 번식할 확률이 높습니다. 조리를 한 상태여도 상온에 오래 있을 경우 상하고 세균이 번식할 수 있습니다.
-생크림 케이크
먹을 양만 잘라서 드시고 나머지는 꼭 상온이 아닌 냉장고에 보관을 해야 됩니다. 생크림 같은 경우 상하기 쉬운 식품임으로 여름철 가급적이면 생크림 케이크를 안 드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식재료에 대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단백 저칼로리 다이어트 음식 추천 (1) | 2022.08.12 |
---|---|
장염 증상과 장염에 좋은 음식 추천 (0) | 2022.08.11 |
두통에 좋은 음식 추천과 나쁜 음식 (0) | 2022.08.09 |
체질에 맞는 여름철 보양음식 (0) | 2022.08.07 |
8월 제철 음식 참문어 뱀장어 갈치 (0) | 2022.08.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