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리비법

우리가 매일 먹는 김치 효능

by 이슬찡 2022. 8. 13.
반응형

김치는 한국인이라면 밥을 먹을 때 빠질 수 없는 음식 중에 하나입니다. 김치의 매콤 새콤한 맛과 느끼한 것과 같이 먹어도 안성맞춤이고 특히 라면과 잘 어울리는 음식이죠. 오늘은 저희가 매일 먹는 김치에 대해 살펴봅시다. 

김치 효능
김치 효능

김치에 대해서

김치의 역사와 유래

김치의 기원은 소금에 채소를 절인 원시 채소절임부터 시작합니다. 채소 절임은 저장 및 보존 상태를 최대한적으로 늘려주기 위한 보편적인 형태였습니다. 아직까지 김치의 확실한 유래가 확인되지는 않았으나 우리나라 전통 음식으로 자리 잡혔습니다. 제일 오래된 중국 역사서에서는 고구려인이 발효 저장 음식을 잘 먹었다는 기록이 있어 삼국 시대부터 김치 및 발효 음식을 저장하여 오랫동안 먹었다고 유추됩니다. 또한 우리나라의 문헌 중 고려시대에서 김치의 내용을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많이 알고 있는 통배추는 사실 조선시대에서 귀한 식재료로 여겨져 보편적으로 먹는 통배추김치는 조선시대에서는 반찬으로 활용하지 못했었는데 1800년도부터 배추 재배가 확산이 되며 점차 우리가 아는 김치의 형태로 자리 잡았습니다.

김치의 효능

  • 비타민이 풍부하다
    • 채소는 겨울에 생산이 어려워서 채소에 있는 비타민 공급이 어려운데 김치를 먹음으로서 비타민 ABC 등 비롯하여 여러 영양소를 보충해주는 좋은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저칼로리 식품
    • 김치는 채소로 만들어져 칼로리가 낮고 식이섬유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체내의 당류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줍니다. 그래서 당뇨병, 심장질환, 비만 등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 유해균 억제
    • 김치가 숙성되면서 유산균이 생성되는 데 유산균은 몸의 유해물질을 분해시켜주고 PH가 낮아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면역력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 생리대사 활성화
    • 고춧가루는 켑사이신이라는 성분이 들어있습니다. 이 닌 소화작용을 도와주고 비타민 A, C 함유량이 많아 항산화 작용을 통해 노화를 억제합니다.

중국과 김치전쟁

2021년 1월 중국의 유튜버가 김치를 만드는 영상에서 중국음식이라고 올려 논란의 시발점이 되었습니다.

중국이 주장하는 파오차이와 김치의 차이점

김치 효능
중국의 파오차이

중국의 김치라고 하면 파오차이인데 파오차이는 김치보다 피클에 가까운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고춧가루와 빨간 양념을 이용해 담그는 것이 아닌 일반 무절임 같은 형태로 무색과 비슷합니다.

중국이 김치가 자기나라 것이라고 주정하는 이유 중 하나가 김치는 과거 원시시대 채소절이에 유래가 되었다고 하였는데 이 채소 절임을 확인할 수 있는 문헌이 중국 주나라 때의 문헌이기에 이를 근거로 김치의 종조국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댓글